News
홈 > 회원포럼 > 부동산 뉴스
부동산 뉴스

대우건설 매각 불발…대형건설사 '해외사업 리스크' 악몽 재현되나

    
  872367999_aSBw4fdU_7660d47ad390a0628881a26efb14de8b3a78911f.jpg  
대우건설의 모르코 사피 복합화력발전소 현장의 모습.(쩨공=대우건설)

호반건설이 대우건설 인수를 포기하면서 건설업계의 해외사업 리스크가 재조명되고 있다. 순조롭게 진행되던 대우건설 인수전이  해외사업 추가 손실에 발목이 잡힌 탓이다. 그동안 대형건설사들은 '빅 배스(Big bath)'를 단행하며 해외사업의 잠재 부실을 털어내 끝이 보이는 듯 했지만 대우건설 사례로 아직 안심할 수 없다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빅 배스란 과거의 부실요소를 한 회계년도에 모두 반영해 손실이나 이익규모를 있는 그대로 회계장부에 드러내는 것을 말한다.

호반건설은 8일 대우건설 인수 포기 의사를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해외사업 우발 손실 등을 접하며 우리가 대우건설의 현재와 미래의 위험요소를 감당할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면서 인수 포기 배경을 설명했다.

결국 대우건설의 해외사업 부실이 인수합병(M&A) 레이스의 발목을 잡은 셈이다. 올해 초 모르코 사피 복합화력발전소 현장에서 약 3000억원의 추가 손실이 발생했다. 주문해서 제작한 기자재에서 문제가 생겨 다시 제작하기로 결정하면서 손실이 발생했다. 

해당 비용은 지난해 4분기 실적에 반영했고 영업이익은 1432억원 순손실을 기록했다. 연간 영업이익 역시 예상했던 7000억여원보다 크게 줄어든 4373억원에 그쳤다. 해외사업 누적 손실규모 역시 지난해 3분기 855억원에서 4분기 4225억원으로 급증했다.  

더 큰 문제는 추가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해외사업지가 있다는 데 있다. 현재 대우건설은 카타르와 오만, 인도, 나이지리아, 베트남 등 42개국에서 300여 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대우건설의 해외사업 평균 원가율은 104%다. 한마디로 100원에 수주했는데 건설하는데 104원이 들었다는 얘기다. 주요 해외 프로젝트 10개 중 원가율이 100%를 넘는 프로젝트는 6개에 달한다. 모르코 플랜트 프로젝트 뿐 아니라 카타르 고속도로 프로젝트 등 5개 현장에서 최근 2년간 프로젝트당 1000억~4500억원의 손실을 인식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공기지연에 따른 추가 공사비 발생이 원가율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완공시점까지 지체상금을 포함한 추가 공사비 증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해외사업을 보수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대우건설의  주요 해외프로젝트의 손실 인식 현황.(자료=나이스신용평가)© News1


최근 해외사업 손실은 비단 대우건설의 문제만은 아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68억원을 기록했다. 분기 기준 흑자전환에 성공했으나 당초 기대치에는 다소 못 미쳤다. 증권가는 삼성엔지니어링의 4분기 영업이익을 약 250억원으로 예상했었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5분의 1 수준에 그친 것.

이민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아랍에미리트(UAE) 카본블랙 정유공장 프로젝트 등 현안 프로젝트에서 손실액이 1377억원을 기록했다"면서 "올 상반기까지 현안 프로젝트에서 추가 원가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국내 대형건설사는 과거 중동 등 해외시장에서 낮은 가격에 수주한 프로젝트로 어려움을 겪었다. 2012년 전후로 수주한 프로젝트들이 하나둘 준공하면서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회계상 손실을 반영했다. 이 때부터 본격적인 빅 배스가 시작됐다. 

통상 마진율이 낮은 사업장은 확정 손실을 준공 시점에 이르러 대거 반영해 원가율을 확정한다. 공기 지연에 따른 추가 공사비 등 사업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정확한 비용을 추산하기 어려워서다.  

대형 건설사의 해외사업 관계자는 "과거의 교훈으로 공격적으로 수주에 나서진 않지만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서)추가 손실 발생은 언제든지 나올 수 있다"며 "자체적으로 불확실성을 최대한 줄이고 있으나 쉽지 않다"고 말했다.   

0 Comments
14 May 2020
2020.05.14 07:14 AM

코로나에 제주살이도 옛말…뚝뚝 떨어지는 제주도 집값

“요즘 집 보러 오는 사람 없어요. 전화 문의도 현지인들한테서만 간간히 올 뿐 거의 끊겼다고 보면 됩니다.”(제주시 노형동 N공인중개업소 관계자
13 May 2020
2020.05.13 05:48 PM

안방에서 상가, 오피스텔 쇼핑한다 … 온라인 박람회 개최

수익형부동산 연구개발기업 상가정보연구소는 ‘2020 유망 수익형부동산 온라인 투자 박람회’를 본격 개막한다고 13일 밝혔다. 이 행사는 코로나 19에 따른 부동산 정보 비대면(언택트) 시장 확대에 따라 ‘온..
2020.05.13 05:42 PM

"분양권 전매제한 막차타자"…청약 통장 5만개 몰렸다

오는 7월 수도권·지방 광역시의 분양권 전매금지가 예고되자 전매제한 기간이 6개월인 비규제지역의 분양물량에 막차를 타려는 사람들이 몰리고 있다. 지난 12일 화성 구도심권인 반월지구에서 공급한 '신동탄포..
2020.05.13 05:42 PM

[매부리TV] "꼬마빌딩 구입하고 싶다면…"

"여름이 지나면 이자 부담을 못 이긴 건물주들이 속속 매물을 내놓을 것입니다. 저렴한 매물을 잡으려면 그때를 노려 들어가면 어떨까요." 김윤수 빌사남 대표가 매부리TV 인터뷰를 통해 밝힌 올해 꼬마빌딩 매수..
2020.05.13 05:16 PM

SM그룹, 광주 동구에 '아동 맞춤형 아파트' 짓는다

SM그룹(회장 우오현) 건설부문 계열사인 SM삼라는 광주광역시 동구청과 '아동 맞춤형 아파트 환경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협약내용은 동구 학동4구역주택재개발조합의 아파트 전용공간..
2020.05.13 04:57 PM

SK건설·한진중공업 컨소, 인천 분양열기 이어갈 '부평 SK VIEW 해모로' 분양

올해 1분기 신규분양 시장으로 지난해보다도 더 많은 청약자가 몰려들며 신규분양 시장이 온기를 보이고 있다. 13일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에서 공급된 신규분양 단지는 50개단지 1만7494가구(일..
2020.05.13 04:39 PM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의무화될까…국토부, 로드맵 수립 착수

국토교통부는 노후 건축물의 에너지성능개선사업인 '그린리모델링'의 본격 활성화를 위한 다각도의 맞춤형 정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그린리모델링 우수사례인 'K-water ..
2020.05.13 04:36 PM

이달말부터 용산정비창 일대 5평이상 거래 허가받아야

정부가 최근 8000가구 규모 주택 공급 계획을 밝힌 서울 용산역 철도정비창과 주변 지역이 이달 말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다. 개발 계획 발표 이후 인근 지역 집값이 꿈틀댈 조짐을 나타내자 최대한 서둘러..
Sponsor
Recommend Event
친구들에게 신세계부동산정보 공유하고 현금처럼 사용가능한 포인트 받으세요!
- 홍보 주소(배너) 클릭 회당 100 점 적립 (동일 아이피 90일 1회)
- 적립일로부터 180 일 경과 시 만료
- 부정클릭 발견 시 관련 포인트는 모두 초기화 됩니다.
- 로그인 후 이용 시 적립 가능합니다.
SNS Promotion - 적용할 SNS 아이콘 클릭 후 단계 진행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Naver Tumblr Pinterest
LINK Promotion - 카페,사이트 등 URL 클릭 이동 적용시 아래 내용을 복사 - 붙여넣기
IMAGE Promotion - 카페, 사이트 등 이미지 클릭 이동 적용시 아래 내용을 복사 - 붙여넣기
Related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