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홈 > 회원포럼 > 부동산 뉴스
부동산 뉴스

[대우건설]M&A 무산시킨 잠재부실 선반영 왜?

    
  908366956_Q9ViJHnX_b0e34566447eb30354b292a56fcdf65047bbefae.jpg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 같았던 대우건설 매각 작업이 예상치 못한 '잠재 부실' 문제로 좌초됐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던 호반건설은 대우건설 해외사업장에서 추가 부실이 얼마나 더 있을 지 모른다는 이유로 발을 뺐다. 대우건설의 해외 사업장은 300여 곳이 넘는다. 

이 때문에 건설업계에서는 대우건설이 잠재 부실을 이처럼 신속하게 반영한 것을 두고 의문을 나타낸다. M&A를 좌초시킬 정도로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는 충격 요법을 쓸 필요가 있었냐는 지적이 나온다.

해석은 크게 두 가지다. 우선 관련 업계에서는 삼일회계법인과 안진회계법인과의 신경전이 단초를 제공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또 하나는 대우건설 내부에서 호반건설을 그다지 반기지 않았고 물러설 빌미를 제공했다는 설명이다. 

◇회계법인 싸움에 2016년도 피해 입어…현재 시총 3500억원 증발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올해 1월 발생한 모로코 사피 발전소 3000억원 규모의 손실을 지난해 4분기에 선반영 했다. 이는 공기 지연에 대한 보상금까지 포함해 최악의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지연기간에 따라 손실은 상당부분 줄어들 수가 있다. 또 자재 결함으로 판명날 경우 납품업체에 구상권을 행사할 수도 있다. 실제 손실은 장부에 반영한 것보다 큰 폭으로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이같은 소식이 알려지면서 M&A가 무산된 것은 물론 대우건설의 시가총액도 약 3500억원 증발했다. 그렇다면 대우건설은 왜 최악의 사니리오를 가정했을까.

대우건설이 회계처리에 있어서 보수적으로 접근한 것은 2016년 지정감사를 맡은 안진회계법인이 '검토 의견거절'을 내놓으면서다. 이는 외부 감사인이 감사 대상 기업에 낼 수 있는 의견(적정·한정·부적정·의견거절) 중 가장 나쁘다. 국내 4대 회계 법인이 상장기업에 의견 거절을 낸 것이 흔치 않은데다 대우건설 역사상 감사 거절을 받은 것도 처음이었다.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 같았던 대우건설 매각 작업이 예상치 못한 '잠재 부실' 문제로 좌초됐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던 호반건설은 대우건설 해외사업장에서 추가 부실이 얼마나 더 있을 지 모른다는 이유로 발을 뺐다. 대우건설의 해외 사업장은 300여 곳이 넘는다. 

이 때문에 건설업계에서는 대우건설이 잠재 부실을 이처럼 신속하게 반영한 것을 두고 의문을 나타낸다. M&A를 좌초시킬 정도로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는 충격 요법을 쓸 필요가 있었냐는 지적이 나온다.

해석은 크게 두 가지다. 우선 관련 업계에서는 삼일회계법인과 안진회계법인과의 신경전이 단초를 제공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또 하나는 대우건설 내부에서 호반건설을 그다지 반기지 않았고 물러설 빌미를 제공했다는 설명이다. 

◇회계법인 싸움에 2016년도 피해 입어…현재 시총 3500억원 증발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올해 1월 발생한 모로코 사피 발전소 3000억원 규모의 손실을 지난해 4분기에 선반영 했다. 이는 공기 지연에 대한 보상금까지 포함해 최악의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지연기간에 따라 손실은 상당부분 줄어들 수가 있다. 또 자재 결함으로 판명날 경우 납품업체에 구상권을 행사할 수도 있다. 실제 손실은 장부에 반영한 것보다 큰 폭으로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이같은 소식이 알려지면서 M&A가 무산된 것은 물론 대우건설의 시가총액도 약 3500억원 증발했다. 그렇다면 대우건설은 왜 최악의 사니리오를 가정했을까.

대우건설이 회계처리에 있어서 보수적으로 접근한 것은 2016년 지정감사를 맡은 안진회계법인이 '검토 의견거절'을 내놓으면서다. 이는 외부 감사인이 감사 대상 기업에 낼 수 있는 의견(적정·한정·부적정·의견거절) 중 가장 나쁘다. 국내 4대 회계 법인이 상장기업에 의견 거절을 낸 것이 흔치 않은데다 대우건설 역사상 감사 거절을 받은 것도 처음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2015년까지 삼일회계법인이 대우건설, 안진회계법인이 대우조선해양의 회계 감사를 맡아왔다"며 "안진이 회계 감사를 맡았던 대우조선해양이 같은해 수조원의 손실을 내고 분식회계 혐의에 휘말리면서부터 2016년부터 삼일이 대우조선해양의 감사를 맡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삼일이 안진의 회계 감사를 부정하는 듯한 회계 감사를 벌이자 안진도 삼일의 회계 감사가 문제가 있었다는 식의 태도와 함께 상당히 보수적인 기준으로 감사했다는 소문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한 회계법인 관계자도 "안진이 대우조선해양 사태 이후 과도하게 보수적으로 회계기준을 적용하면서 대우건설을 몰아붙였다"며 "삼일을 의식해 투자자에게는 의도치 않은 피해를 준 셈"이라고 강조했다.

대우건설이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해 잠재 부실을 선반영한 주된 이유가 회계법인 사이의 감정싸움이라는 얘기다. 대우건설은 2016년말 회계감사에 조기 착수하는 한편 외부감사인이 요구하는 사업장에 대해서 국내외를 막론하고 실사에 들어갔다. 변경된 회계기준도 적용했다.

일반적으로 건설업계는 장기간 진행되는 공사현장의 수익인식을 위해 예정원가를 사용한다. 공사진행 중에는 전망치를 이용해 비용과 수익을 인식하고 공사 준공 후 정산한다. 이 때문에 공기가 지연되거나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 준공 시점에서 흑자 사업장이 적자 사업장으로 변경되는 등 큰 폭의 실적변동이 발생한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보수적인 회계처리가 손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데에는 이견이 있다"며 "물가상승이나 제반 생산요소 가격의 변동에 따른 예정원가의 변동이라면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다"고 전했다.

◇대우건설 "분식회계 없다"…환입될 경우 영업이익률↑

대우건설의 입장은 분명하다. 모로코 현장의 손실을 숨기거나 의도적으로 선반영했다는 의혹들에 회계원칙을 확인하지 않은 무책임한 주장이라고 일축한다. 분식회계에 대한 트라우마 때문에 최대한 보수적인 회계처리를 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게 대우건설의 해명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사고를 인지한 시점에서 최대한 반영할 수 있을 때 해야 하는 것이 최근 수주산업 회계처리 방향"이라며 "매각을 앞둔 시점에서 대규모 손실을 늦게 반영하면 은폐 의혹 보단 분식회계가 될 수 있어 최대한 보수적으로 금액을 잡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우건설은 이미 2016년 빅배스(big bath)를 단행했다. 빅배스는 회사가 누적손실이나 잠재손실 등 회계부실 요소를 한 회계연도에 몰아 처리하는 것을 뜻한다. 비록 적자 폭은 커졌지만 대우건설이 보수적인 회계처리를 통해 당시 빅배스를 감행한 것을 두고 시장에선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이번 회계처리 역시 '투명화' 조치의 연장선이란 평가가 지배적이다. 실제 대우건설은 지난해 모로코 현장의 대규모 손실에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지난해 경영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매출 11조7668억원, 영업이익 4373억원, 당기순이익 2644억원을 기록했다. 2010년 산업은행 체제로 들어간 이후 최대 실적이다.

대우건설의 올해 목표는 수주 9조3600억원, 매출 10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실적과 비교해 보수적으로 책정했다. 증권업계에선 선반영한 모로코 현장 부실이 올해 환입이 이뤄진다면 영업이익이 7000억원에서 1조원 가까이 증가할 것이란 분석도 내놓고 있다. 

라진성 키움증권 연구원은 "현장 계약상 지체보상금의 최대 규모는 총 4000억원이었고 대우건설이 4분기 실적에 반양한 약 3000억원의 구성내역을 고려하면 지체보상금으로 발생 가능한 최대 손실은 1100억원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일부에서 제시한 추가손실 가능액 7000억원이란 숫자는 명확한 근거가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우건설의 해외사업 손실을 이유로 매각이 불발된 것에 대해 대주주인 KDB산업은행의 책임론이 대두되고 있다. 투자은행(IB)업계에서는 기업의 해외 사업부실이 드러나면서 매각이 무산된 경우는 전례가 없다는 반응이다. 이미 산업은행은 대우건설 매각 무산에 앞서 금호타이어를 비롯해 KDB생명 등 줄줄이 매각에 실패했다. 

IB 관계자는 "산업은행이 상당한 혈세를 쏟아부은 기업들의 매각에 실패하고 있는 것은 관리능력이 한계에 다다른 것이 아닌가란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0 Comments
19 Feb 2018
2018.02.19 02:11 PM

서울시, 올해 '에너지자립마을' 최대 100개소 조성

서울시는 에너지를 생산·절약·효율화하는 에너지자립마을을 연내 100개소로 확대 조성한다고 19일 밝혔다. 에너지자립마을은 2012년 7개에서 시작해 지난해 80개소로 확산됐으며, 마을공동체 활동을 기반으로 에너지 절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66개소 마을..
2018.02.19 01:45 PM

수원 인계동 동문굿모닝힐 23일 견본 개관

동문건설은 경기도 수원시 인계동 153-2 일대 들어서는 `수원 인계동 동문굿모닝힐` 견본주택을 오는 23일 개관하고 본격적인 분양에 나선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최고 33층, 3개동, 전용면적 63·71·79㎡ 총 298가구로 조성된다. 아파트는 지하철 1호선과 KTX가 정차..
2018.02.19 01:42 PM

'부실시공' 부영 영업정지 처분 받나

이중근 회장 구속으로 경영 공백 상황에 놓인 부영그룹이 부실시공으로 인한 영업정지 처분까지 받을 위기에 처했다.`메이저` 건설사의 사망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아파트 부실시공에 대해 중앙정부가 직접 나서 전국 규모 점검을 실시하고 제재를 요청한 것은 이번이 처음..
2018.02.19 01:23 PM

직방 새 얼굴로 배우 이동욱 발탁

배우 이동욱이 부동산정보 서비스 직방의 새 얼굴로 발탁됐다. 직방은 배우 이동욱과 광고모델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직방은 아파트, 오피스텔, 원룸 등 주거 정보를 다루는 부동산 플랫폼이다. 이동욱은 직방의 주 수요층인 20~30대에게 세련되고 친근한 이미..
2018.02.19 01:11 PM

건설산업硏 "건설사, 기존 분양에서 운영 중심 사업모델로 전환해야"

우리나라 건설사들이 본격적인 저성장기 도래 이전 시장 지위 선점을 위한 비즈니스모델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일본 임대주택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분석` 연구보고서를 통해 "호황기가 마무리되고 있는 주택시장에서 건설..
2018.02.19 01:10 PM

화성시 대표 직주근접 단지, 서희건설 ‘화성시청역 서희스타힐스4차’ 시선집중

-알짜 입지 선점한 ‘직주근접’ 주거지로 투자가치 높아 조합원 모집이 시작되며 그 어느 때보다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서희건설 ‘화성시청역 서희스타힐스4차 숲속마을’이 직주근접 주거지로 알짜 입지를 선점해 호평 받고 있다.화성시청역 서희스타힐스4차 숲속마..
2018.02.19 01:01 PM

GS건설, 신 DTI 반사이익 기대 ‘서청주파크자이’ 분양

지난 31일부터 신(新) DTI(총부채상환비율)이 시행됨에 따라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 지역에 공급되는 아파트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GS건설은 규제 적용을 받지 않는 청북 청주 복대생활권에서 `서청주파크자이`를 분양 중이라고 19일 밝혔다.이 단지는 지하 2층~지..
2018.02.19 12:29 AM

국토부, 고속철도 방음벽 소음저감장치 등 교통신기술 4건 지정

국토교통부는 `고속철도 방음벽 상단설치용 소음저감 장치`, `화물취급선용 이동식 전차선시스템` 등 4건을 교통신기술(제39호~제42호)로 지정했다고 19일 밝혔다. 교통신기술은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하거나 외국에서 도입·개량한 교통기술로 신규성, 진보성, 경제성, 현..
2018.02.19 12:28 AM

국토부, '부실시공' 특별점검한 부영에 영업정지 3개월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부실시공으로 문제가 되었던 부영주택에 대한 1차 특별점검 결과로 부실벌점 30점, 영업 정지 3개월 등 제재처분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19일 밝혔다. 국토부는 지난해 9월 국토부 및 지자체 합동 특별점검반을 구성해 부영주택에서 시행·시공 중인 전..
2018.02.19 12:09 AM

인천 주안초 부지에 의료와 연계한 ‘아인애비뉴’ 상가 분양

시행사인 에스엠씨피에프브이는 인천 주안초등학교 부지에 지을 주상복합단지의 상업시설인 ‘아인애비뉴’를 분양한다고 19일 밝혔다.아인애비뉴 주상복합
2018.02.19 12:01 AM

시민공원 앞 주안 신흥상권 '인천아인애비뉴' 눈길

주안 재정비촉진지구 재개발 사업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 받는 주상복합단지 `인천아인애비뉴`가 시민공원역 바로 앞인 주안초교 부지에 들어설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8층~지상 44층 864가구의 아파트 4개동과 여성 전문 병원이 입점할 메디컬센터 1개동, 연면적..
2018.02.19 11:45 AM

부영 "철근 빼먹고 부실시공"…국토부, 3개월 영업정지 강력제재

         서울 중구 부영그룹 건물 모습 부영주택이 아파트를 건설하면서 설계보다 철근을 적게 사용하는 등 부실시공을 한 사실이 적발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3개월 영업정지 등 강력 제재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부영주택의 12개 아파트단지를 특별점검해 164건의 시정명령을 내리고 30점의 부실벌점과 3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 더보기
2018.02.19 11:40 AM

1월 가장 비싸게 팔린 집, 한남동 단독주택 무려 '110억원'

           지난달 가장 비싸게 팔린 집은 서울 용산구 한남동 단독주택이 차지했다. 무려 110억원에 거래가 이뤄졌다. 아파트와 오피스텔 최고가는 각각 서울 성동구 성수동 갤러리아포레와 논현로얄팰리스로 나타났다. 이들 거래금액은 각각 43억7000만원과 16억5000만원이었다.   특히 지난달 서울 강남권 고가주택의 거래가 집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 더보기
2018.02.19 11:37 AM

대우건설, 매각 불발 내부선 '환영'…구조조정 등 후폭풍 '근심'

         전영삼 산업은행 자본시장부문 부행장이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열린 대우건설 매각 관련 기자 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호반건설의 의사결정 구조가 김상열 회장 1인에 의해 이뤄지다보니 조직문화를 걱정할 수밖에 없었죠. 그런면에서 인수불발은 다행으로 여깁니다" "구조조정 논의가 본격화되지 않았지만 가능성이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다… 더보기
2018.02.19 11:29 AM
Now

현재 [대우건설]M&A 무산시킨 잠재부실 선반영 왜?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 같았던 대우건설 매각 작업이 예상치 못한 '잠재 부실' 문제로 좌초됐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던 호반건설은 대우건설 해외사업장에서 추가 부실이 얼마나 더 있을 지 모른다는 이유로 발을 뺐다. 대우건설의 해외 사업장은 300여 곳이 넘는다.  이 때문에 건설업계에서는 대우건설이 잠재 부실을 이처럼 신속하게 반영한 것… 더보기
2018.02.19 11:24 AM

강남4구, 대규모 이주계획에 '전세난' 우려

         서울 강남구의 한 공인중개소 앞에 묻은 매물 목록을 유심히 살피는 주민의 모습. "강남 거주자들은 세입자와 소유자를 막론하고 살던 지역을 떠나지 않으려는 성향이 강합니다. 올해 대규모 이주 계획이 잡힌 재건축단지 주민 대부분이 같은 강남에서 전세를 구하기 원하는데 주택 공급은 턱없이 적다보니 전세난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서울 서초구 반포동… 더보기
Sponsor
Recommend Event
친구들에게 신세계부동산정보 공유하고 현금처럼 사용가능한 포인트 받으세요!
- 홍보 주소(배너) 클릭 회당 100 점 적립 (동일 아이피 90일 1회)
- 적립일로부터 180 일 경과 시 만료
- 부정클릭 발견 시 관련 포인트는 모두 초기화 됩니다.
- 로그인 후 이용 시 적립 가능합니다.
SNS Promotion - 적용할 SNS 아이콘 클릭 후 단계 진행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Naver Tumblr Pinterest
LINK Promotion - 카페,사이트 등 URL 클릭 이동 적용시 아래 내용을 복사 - 붙여넣기
IMAGE Promotion - 카페, 사이트 등 이미지 클릭 이동 적용시 아래 내용을 복사 - 붙여넣기
Related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