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단독] 3기 박원순號 `창동민자역사` 난제부터 푼다

전범주 기자
입력 : 
2018-06-15 15:57:12
수정 : 
2018-06-15 19:11:48

글자크기 설정

8년째 공사 중단돼 흉물로…장기방치건축물 정비사업 중 최우선 해결과제로 주문
세부계획 위해 수차례 논의…매각·증축·신축 등 대안 마련
상부에 임대주택 추가한 `주상복합빌딩` 모델 부상…종상향 등 규제완화 관건
사진설명
서울 도봉구 창동 지하철 1·4호선 창동민자역사 전경. 2010년 11월 건설 공사가 중단된 이후 8년째 골조를 드러낸 채로 장기 방치돼 있다. [매경DB]
박원순 서울시장이 세 번째 임기를 이어감에 따라 서울시가 장기 방치 건축물 해결 1순위로 낙점한 '창동민자역사 되살리기' 프로젝트의 해결에 본격 나선다. 8년째 공사가 중단돼 흉물로 남아 있는 창동민자역사는 현재 회생절차에 따라 인수·합병(M&A)을 시도하고 있지만 매수자를 찾지 못할 경우 역사 위에 임대주택을 증축해 주상복합화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서울시는 삼성동 아파트, 파인트리 콘도미니엄, 보라매동 업무시설, 신림 백화점, 금천주택, 평창동 교육연구시설, 명륜동 다가구주택, 동숭동 다가구주택, 용마공원, 평창동 다세대 등 11개 장기 방치 건축물 정비사업 중에서 창동민자역사를 최우선 해결 과제로 낙점했다.

지난해 12월 서울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에잇플러스건축사무소 등 민간 전문가에게 1억3800만원을 주고 장기 방치 건축물 정비계획수립 용역 계약을 맺었다. 서울시는 민간 용역 업체들에 창동민자역사 해결을 최우선으로 주문했다. 지난 3월 말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민간 용역 전문가들과 회의를 열고 "11개 장기 방치 건축물 프로젝트 중에서 창동민자역사를 최우선 과제로 정하고 이 문제에 역량을 집중해 달라"고 밝혔다.

사진설명
6·13 지방선거 직전인 지난 11일에도 서울시청사에서 창동민자역사 정상화를 위한 민간 용역 회의가 열렸다. 지난 3일 용산 노후 상가가 붕괴되면서 장기 방치 건축물의 안전 문제에 관심이 모아지던 시점이다. 이 회의에서 LH 등 민간 용역 전문가들은 역사 상부에 임대주택을 신축해 주상복합빌딩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창동역사 상부에 임대주택이 들어서면 안정적 임대수익을 거둘 수 있을 뿐 아니라 역사 내 상가에도 고정적 수요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재인정부와 박원순 서울시장도 청년과 신혼부부 등을 대상으로 한 임대주택 확충에 힘을 쏟고 있어 명분도 충분하다는 판단이다. 역사 상부에 임대주택을 증축하려면 용적률 완화 등 서울시의 강력한 의지가 뒷받침돼야 한다. 현재 지상 10층 건물로 계획된 창동역사의 용적률을 400%까지 높이면 20층 중반까지 증설할 수 있다. 10층 이상 임대주택이 들어설 수 있는 셈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관계자는 "창동역사를 되살리기 위해 여러 의견이 오갔지만 역사 상부에 임대주택을 증축하는 방안이 수익성과 현실성 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는 의견이 많았다"며 "결국 서울시가 창동역사에 청년주택 등을 짓기로 결정하고 종상향과 용적률 완화 등 파격적인 결단을 내릴 수 있을지에 달렸다"고 말했다. 한편 창동민자역사의 회생절차를 진행하는 법정관리인은 "인가 전 M&A를 추진해야 창동역사 공사가 재개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법정관리인은 이날 회의에서 "대기업은 아니지만 중견사 몇 곳과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와 민간 전문가들도 일단 법정관리인이 지휘하고 있는 민간 매각 절차를 지켜본다는 방침이지만 실현 가능성은 높지 않다. 신세계·롯데 등 대형 유통업체들은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고, 1급지 상권도 아닌 창동역사를 인수하기가 버겁다는 입장이다.

서울회생법원은 지난 1월 PwC삼일회계법인에 의뢰해 실사를 진행한 결과 청산가치가 전혀 없는 것은 물론이고 계속해서 기업을 운영했을 때 가치(계속기업가치)도 자금 부족과 계속사업의 불확실성으로 추정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전범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