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서울시도 신혼부부 임대주택 8만5000호 공급

최재원 기자
입력 : 
2018-02-20 17:28:54
수정 : 
2018-02-21 09:05:16

글자크기 설정

주거·보육정책 발표
고덕강일·광진자양에 신혼부부 특화단지도 조성
사진설명
서울시가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위해 2022년까지 매년 1만7000가구, 향후 5년 동안 총 8만5000가구의 임대주택을 공급하기로 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0일 기자설명회를 열고 신혼부부 임대주택 공급과 보육 지원 확대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청년의 사랑에 투자하는 서울' 정책을 발표했다. 오는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청년층 표심을 잡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박 시장은 "신혼부부용 주택을 연 1만7000가구씩 2022년까지 총 8만5000가구를 공급해 청년이 주거비 부담 때문에 결혼을 망설이거나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며 "이를 위해 올해 4406억원을 시작으로 5년간 총 2조4465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에서 결혼하는 매년 5만쌍의 2030가구 신혼부부 가운데 중위 전세가격인 2억7000만원(한국감정원 2016년 기준)을 감당하기 어려운 가구는 약 1만7000가구로, 이들을 모두 흡수할 수 있는 규모의 공급량이라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신혼부부 임대주택 8만5000가구는 시가 직접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 3만6000가구와 민간이 짓고 공공이 지원하는 공공지원주택 4만9000가구로 구성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공공임대주택은 △행복주택 1만5500가구 △매입임대주택 3200가구 △장기안심주택 4400가구 △전세임대주택 1만300가구 등이다. 공공임대주택은 종류에 따라 자격 조건과 지원 규모가 차이 난다.

공급 물량이 가장 많은 행복주택은 도시근로자 평균소득 100% 이하가 대상자로, 시세 80% 이하 가격으로 최대 10년 거주할 수 있다.

공공지원주택은 △역세권 청년주택 1만8380가구 △신혼부부 임차 보증금 지원 2만5000가구 △리츠를 통한 사회·공동체주택 5600가구로 각각 구성된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신혼부부 주택 비율을 기존 15%에서 30%로 2배 늘린다.

시는 신혼부부 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고덕강일지구 12블록에 전용 49~50㎡ 350가구(공공지원)와 구의자양 재정비촉진지구에 전용 39㎡ 150가구(공공임대)로 이뤄진 '서울형 신혼부부 특화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신혼부부의 자녀 양육 부담도 덜어주고자 마을 단위 돌봄 체계를 구축하고 민간 어린이집 무상보육도 시행하기로 했다. 우선 시는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0~5세를 위한 공동육아 품앗이 공간인 '우리동네 열린육아방'을 2022년까지 450곳 설치한다. 초등학생에게 돌봄과 학습·문화·체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우리동네 키움센터'도 2022년까지 125곳 운영한다.

[최재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