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전방위 압박에도 강남 집값 상승 `여전`

정순우 기자
입력 : 
2018-01-25 17:46:24
수정 : 
2018-01-25 17:48:18

글자크기 설정

강남 0.93%·서초 0.76%↑
송파 0.67%, 상승폭 절반 뚝
한국감정원 주간시세 부동산 투기세력과의 전쟁을 선포한 정부가 '재건축 연한 연장' 카드까지 꺼내들었지만 강남 집값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다.

25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이달 22일 기준 직전 일주일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6% 오르며 전주(0.04%)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 서울 상승 폭은 0.38%로 전주(0.39%)보다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전국 평균의 6배가 넘었다. 서울 상승에 힘입어 수도권은 0.16% 오른 반면 지방은 0.03% 하락하며 양극화가 심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지난해 과열 우려가 제기되던 부산은 0.06% 하락하며 전주(-0.03%) 대비 낙폭이 두 배로 커졌다.

강남4구와 목동, 한강변 등 최근 집값이 급등하던 지역의 강세는 지속됐다. 강남구는 0.93%, 서초구는 0.76%, 송파구는 0.67% 올랐다. 송파구는 전주(1.39%) 대비 상승 폭이 절반 수준으로 줄었지만 여전히 급등이라고 평가할 만한 수준이다. 강남구는 전주(0.75%) 대비 상승 폭이 오히려 확대됐다. 양천구는 0.89% 올랐으며 성동구와 광진구는 각각 0.59%, 0.43%씩 올랐다. 동작·마포·용산구도 0.3% 이상씩 올랐다.

서울 내에서도 양극화는 심각했다. 강북구는 일주일간 시세 변동이 없었으며 금천구, 중랑구도 각각 0.06% 오르는 데 그쳤다. 강서, 관악, 노원, 도봉구도 상승 폭이 0.1% 수준이었다.

이번 시세가 집계된 16일부터 22일은 정부의 강남 재건축에 대한 압박이 최고조에 달했던 기간이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18일 열린 '주거복지 협의체'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현행 30년인 재건축 연한을 40년으로 늘리고 안전진단 요건도 강화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국토부는 이어 지난 21일 서울 강남 주요 재건축 아파트 15개의 재건축 부담금을 시뮬레이션해 본 결과 조합원당 평균 4억4000만원, 최대 8억4000만원의 부담금이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정부 정책의 효과를 확정적으로 얘기할 수는 없지만 최소한 지난 일주일간 이뤄진 두 번의 개입은 단기적으로 강남 집값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재건축 규제 강화에서 자유로운 아파트로의 쏠림을 우려할 만한 현상이 감지된다.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154㎡는 매도 호가가 50억원까지 치솟았다. 동일 면적의 실거래가는 지난해 6월 37억2000만원이었다.

[정순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