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대출 금리 감당 못해"…생애최초 부동산 매수자도 역대 최저

조성신 기자
입력 : 
2022-06-20 10:33:02
수정 : 
2022-06-20 11:24:06

글자크기 설정

금리인상 경제여건 악화 등 여파
사진설명
한 금융소비자가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의 대출 창구를 나서고 있다. [이충우 기자]
올해 들어 월평균 생애최초 부동산 매수자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금리인상, 물가상승 등 대외 경제여건이 악화되는 상황에 매수 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일 직방에 따르며, 올해 들어 5월까지 전국 부동산 생애최초 매수자는 월평균 3만8749명으로 통계 발표가 시작된 2010년 이후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부동산 매수자 중 생애최초 부동산 매수자가 차지하는 비율도 23.9%로 2017년(23.6%)에 이어 두번째로 낮았다.

연령별 월평균 생애최초 부동산 매수자수는 전국 모든 연령대가 전년 월평균 매수자수에 비해 감소했다. 특히 39세 이하는 2022년 월평균 1만9480명이 매수, 처음으로 2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비율도 50.3%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40세~59세 이하 역시 통계 발표 이후 가장 적은 생애최초 부동산 매입자수를 기록했고, 60세 이상은 4184명으로 조사됐다.

올해 서울지역 부동산을 생애 최초로 매수한 매수자는 월평균 4389명으로 전국과 같이 2010년 통계 발표 이후 가장 적으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매수자에서 생애최초 매수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30.3%로 작년에 비해 감소했으나, 2015~2020년 30% 미만인 것에 비해서는 비교적 높은 비율을 보였다. 서울지역 생애최초 부동산 매수는 전반적인 부동산 거래의 부진 상황에서도 다른지역에 비해 활발한 모습을 보였다.

사진설명
올해 서울지역 부동산의 생애최초 매수자를 연령별로 보면 월평균 39세 이하(2441명)가 2010년 이후 가장 적은 매수자를 기록했다. 생애최초 매수자 전체 중 55.6%로 2016년 54.5% 이후 가장 낮은 비율이지만, 전국의 동일한 연령대의 생애최초 매수자 비율에 비해 높은 비율을 유지했다. 40세~59세 이하와 60세 이상은 월평균 각각 1629명(37.1%), 318명(7.3%)를 기록했다. 서울의 생애최초 부동산 매수자의 월평균 매수자수는 지난해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전년대비 올해 월평균 생애최초 매수자는 39세이하 45.3% 감소, 40세~59세이하 33.8% 감소, 60세 이상 41.3% 감소해, 전국의 매수자 39세이하 35.4% 감소, 40세~59세이하 28.1% 감소, 60세 이상 26.9% 감소에 비해 감소폭이 컸다.

부동산 업계는 생애최초 부동산 매수자가 줄어든 가장 큰 이유로 '대출 규제'를 지목한다. 부동산 보유자의 경우 기존 부동산을 활용하거나 매각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지만, 부동산 비(非)보유자의 경우 대출 외 자금 조달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에 대출을 통한 자금 조달의 어려움과 함께 수요가 빠르게 소진된 것도 거래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2020~2021년 월평균 전국 5만명 이상, 서울 2020년 8120명, 2021년 7468명이 신규 유입되면서 남은 대기 수요가 줄어든 것도 원인으로 작용했다.

다만,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의 경우 이전에 비해 우호적인 대출 환경이 형성되는 부분은 부동산시장 진입의 장벽을 낮출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정부는 지난 16일 발표한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에서 생애최초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상한을 지역, 주택가격, 소득에 상관없이 80%로 완화하고 대출한도도 6억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시 장래소득 반영방식도 대출시~만기시까지의 각 연령대별 소득흐름의 평균으로 개선키로 했다.

다만, 함영진 직발 빅데이터랩장은 "금리 등의 경제환경은 더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돼 정부의 대출 확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에는 부담스러운 상황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